본문 바로가기
주식 관심종목

6월 13일 관심종목(한미반도체, 한국가스공사, 포스코인터내셔널, 와이씨, 카티스, 마녀공장, 중앙첨단소재, 청담글로벌)

by Dobby_Chloe 2024. 6. 13.
728x90
반응형

한미반도체

< DS투자증권 - HBM의 승부사, 24.05.29 >

TC본더 수요 증가와 고객사 확장의 콜라보

TC본더는 열과 압력을 이용하여 칩을 적층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장비로 HBM 생산의 핵심 장비이다. 식각 공정에서 TSV를 뚫으면 TC본더는 형성된 TSV를 통해 칩을 적층/연결한다. 동사는 주요 메모리 업체향으로 TSV TC본더를 메인 벤더로 납품 중이다. 메모리 업체들의 공격적인 HBM Capa 증설과 스택 수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며 이에 따라 TC본더 수요 역시 증가한다는 판단이다. 또한 HBM 선두 업체향 공급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후발 업체들의 장비 요청이 증가하고 있어 글로벌 고객사 확장 역시 기대된다.

 

HBM4 이후에도 경쟁력 유지 전망

HBM4는 기존 720μm 높이에서 16단 적층이 요구되어 하이브리드 본딩 도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JEDEC에서 적층 높이를 775μm로 완화함에 따라 1) Advanced MR-MUF와 NCF 방식 모두 적용 가능하며, 2) 수율이 높고, 3) 하이브리드 본딩 대비 대당 장비 단가가 낮은 TC본딩 방식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전체 HBM TC본더 시장 점유율 약 65% 이상을 차지하는 동사의 수혜가 지속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더 높은 스택 수와 더 낮은 높이를 구현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본딩 방식으로의 진화는 불가피하다. 하지만 기술 난이도 감안 시 27~28년까지도 TC본딩 방식을 병행할 것으로 전망하며 동사 역시 하이브리드 본더 개발을 지속하고 있어 장비 수요 감소 우려는 이르다는 판단이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90,000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2024년 매출액 5,418억원(+241% YoY), 영업이익 2,113억원(+511% YoY, OPM 39%)을 전망하며 2025F 추정 EPS 3,146원에 Target P/E 60배를 적용하여 목표주가 190,000원으로 커버리지를 개시한다. Target P/E는 글로벌 후공정 장비업체 DISCO, BESI 12M Fwd P/E 평균에 HBM TC본더 시장점유율 감안하여 20% 프리미엄 적용했다. TC본더 매출은 SK하이닉스, Micron 수주에 힘입 어 23년 약 100억원에서 24년 3천억대 후반 이상으로 대폭 증가를 기대하며 추 가적인 고객사 확장 가능성 감안할 때 25년 전사 매출 8천억원 이상 기대한다.

 

 

한국가스공사

< 대신증권 - 동해 광구 제외해도, 아직 매력적 요소 존재, 24.06.11 >

동해 8 광구, 6-1광구 탐사 시추 수혜에 따른 가치 개선은 아직 추정 불가능

한국가스공사 주가는 지난 6월 3일 동해 8 광구, 6-1광구(븍쪽)에서 가스 및 석유 자원량 35 ~ 140억배럴 발견, 향후 탐사 시추 계획이 발표 이후 38% 상승했다. 이는 역사상 가장 낮은 밸류에이션(38% 상승에도 PBR 0.37배에 불과) 상황에서 동해 가스/유전의 가스 및 석유 개발 성공시 수혜 기대감이 저평가 해소 모멘텀으 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동해에서 경제성있는 가스/석유 매장량이 발견될 경우, 동사는 1) 국내 가스판매를 위한 해저 파이프라인 및 육상터미널 투자, 2) Upstream 사업에 직접 지분을 투자 하여 국내 가스 공급, 3) Upstream 사업의 지분투자 없이, 가스를 구매 후 수소로 전환, CCUS를 설치를 통한 블루수소 생산하는 투자 등의 동해 E&P 사업 참여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3)의 경우가 가장 큰 수혜로 이어질 수 있는 경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우선 실제로 가스/석유 매장량 확인, 투자 계획 설립 등 이 선행되어야 동해 광구를 통한 기업가치 개선 수준을 추정할 수 있다.

 

펀더멘털 매력: 실적 정상화, 7월 미수금 회수 시작, 배당매력, 저평가

최근 주가는 동해 가스/유전 이슈로 급등한 것은 사실이지만, 펀더멘털 측면에서 봤을 때도 1) 2024년 영업이익 2.43조원(+56.3% YoY)으로 실적 정상화, 2) 7월 도시가스 요금 인상을 통한 미수금 회수 본격화, 3) DPS 2,170원(현재주가 대비 배당수익률 5.3%)의 배당 매력과 함께 4) 2024년 예상 실적 기준 PBR 0.37배로 여전히 저평가 매력이 존재한다.

 

투자의견 '매수' 유지, 목표주가 51,000원으로 상향(목표 배당수익률 4.3%)

동사의 목표주가는 51,000원으로 상향한다. 이는 2024년 예상 주당 배당금 상향 조정(예상 별도기준 순이익 5,004억원 대비 배당성향을 30%에서 40%로 상향)에 따른 배당매력 확대 등을 반영한 것이다. 목표주가는 목표 배당수익률 4.3%에 해 당하며, 목표 PBR은 0.45배로 2007 ~ 23년 평균 PBR 0.56배 대비 20% 할인한 것이다. 향후 의미있는 미수금 회수가 본격화될 경우, 할인요소가 해소될 수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

< 삼성증권 - 안정적 실적 흐름 지속, 24.04.26 >

예상보다 양호한 1분기 실적

포스코인터내셔널의 1Q24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23.6% 증가한 2,654억 원으로 컨센서스를 8% 상회하였다. 아직 무르익지 않은 철강 수요 회복 환경으로 철강 trading 실적 회복은 지연되었으나, LNG 직도입을 통한 원가 절감으로 에너지사업 실적이 생각보다 견고하였다. 이는 LNG value chain을 일원화하려는 회사의 노 력이 안정적인 실적으로 귀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도 긍정적이다.

 

신규 투자 성과는 2026년부터 확인될 것

LNG value chain 강화, 2차전지 소재 및 전기차 부품 관련 사업 투자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따라서, 회사가 약속한 투자들을 성실히 이행하는지에 대한 꾸준한 점검이 필요하며, 순조로운 투자 진행 시 그 성과는 2026년부터 가시화될 것이다. 다만, 올해는 성장보다는 기존 사업 에서의 안정적 실적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구동 모터코아 실적 하향 및 소재사업 peer 대비 valuation discount(규모 차이에 기인) 등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기존 대비 9% 하향 한 60,000원으로 제시(SOTP 방식)하나, 1분기 실적에서 성과가 확인된 LNG value chain 일 원화를 강화하려는 회사 투자 방향성이 긍정적인 바, BUY 투자의견을 유지한다.

 

와이씨

- 시가총액: 1조 7,968억원

- 1991년 4월 설립되어, 고속 메모리테스터 검사장비 제조 공급업체로서, 주요 제품으로는 메모리 웨이퍼 테스터 등이 있음.
- 주요 제품인 반도체용 웨이퍼 테스터는 칩의 불량 정보를 정확히 취득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하며, DRAM 및 3D-NAND에 적용되는 전공정을 마친 웨이퍼를 셀 단위로 전수 검사함.
- 매출구성은 메모리 웨이퍼 테스터, 전지전자 부속품으로 이루어져 있음.

카티스

- 시가총액: 1,199억원

- 보안대상 공간을 노드를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로 정의하여 보안공간과 이동체의 상태정보를 전달 처리하는 플랫폼을 개발하여 하이엔드급 보안플랫폼 공급사업을 영위.
- 동사의 산업인프라 보안플랫폼은 대규모 공간에서도 안정적으로 보안시스템이 정확하게 작동되어 공항, 데이터센터 등 국가중요시설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하이엔드 보안수요 시장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 제품 라인업은 산업인프라 보안 플랫폼과 PIDS시스템 품목으로 구성됨.

마녀공장

< 하나증권 - 2분기 중간 점검: 미국 수출 확대, 24.06.05 >

2분기 중간 점검: 미국 수출 확대

당사는 지난 31일 마녀공장 경영진과의 미팅을 통해 최근 현황을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다. 2분기 현황 + 해외 진출 관련 진행 사항 등이 주요 내용이다. 연간 가이던스는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국내는 H&B 채널 집중, 온라인 플랫폼 확대를 통해 외형 성장에 주력하 고 있으며, 국내에서 신규 라인업 출시 + 인큐베이팅 후에 해외 확장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해외의 경우 일본이 주력인 가운데, 미국을 다음 확장 지역으로 모색 중이다. 당분기 채널 확장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될 전망이다. 그 외 아시아/유럽 등도 판로 확대를 동시에 함으로써 마케팅 효율 상승, 잠재 성장 모멘텀을 확보해 가고자 한다. 마녀공장의 2분기 실적은 연결 매출 345억원(YoY+38%), 영업이익 54억원(YoY+66%, 영업이익률 16%) 전망하며, 국내와 해외 각각 172억원/173억원으로 전년동기비 각각 45%/33% 성 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 올리브영 중심 + 이커머스 플랫폼 확대 + 신규 라인업 출시 지속

마녀공장은 1분기 기준(네고왕 포함) 온/오프라인 비중 46%/54% 이며, 오프라인의 경우 올리브영(비중 80%) 중심으로 성장 중이다. 신규 라인업 출시(판테토인), 트래픽 증가에 힘입어 1분기에도 올리브영 매출은 전년동기비 29% 성장 기록했다. 2분기는 클렌징/앰플 신제품 런칭을 통해 외형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한다. 온라인의 경우 2분기까지 네고왕 매출이 외형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이며, 네이버/공식몰 뿐만 아니라 주력 온라인/버 티컬 채널 확대하며 하반기로 갈수록 외형 확대 효과 뚜렷해질 전망이다.

 

일본: 온라인 + 오프라인 모두 효율성 중심 전략

일본의 1분기 기준 온/오프라인 매출 비중은 각각 75%/25% 기여한다. 온라인은 시장 감 소/환율 하락/경쟁 심화 영향으로 효율성 중심 경영하고 있다. 상장 이후 동사는 지속적으 로 일본 내 오프라인 채널 확대를 힘쓰고 있으며, 1분기 기준 일본 내 6천개 매장에 입점 했다. 현재 전략은 추가적인 입점 확대 보다는 매장 효율 상승에 주력하며, 일본 내 주요 도심지 중심으로 인지도 제고에 집중 중이다.

 

미국: 아마존 중심 → 오프라인 접점 확대 본격화

미국은 1분기까지 아마존US 매출이 대부분으로 보면 되며, 2분기부터 오프라인 기여도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 동사는 지난해부터 미국 내 주요 벤더와 함께 얼타/코스트코/세 포라 입점을 위한 시도 등을 진행했다. 동사의 주요 벤더는 미국에서 영업/물류/마케팅 등 을 대행하는 역할을 한다. 2분기 코스트코 300개 매장(퓨어클렌징오일), 얼타 600개 매장 (9가지 SKU/스킨케어 3개, 클렌징 6개 품목) 입점할 전망이다. 2분기는 초도 물량이며, 향 후 지속적인 물량 확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중앙첨단소재

- 시가총액: 1조 2,203억

- 동사는 PVC 제품 및 건축자재의 제조와 통신기기 및 장비의 개발, 제조 및 판매와 기타 생활용품 유통사업 등을 영위함.
- 다양화된 제품과 생산설비, 업력을 기반으로 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PVC 창호, 덕트 등을 중심으로 시판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함.
- 2023년 8월부터 사명 변경 후 전해액 제조사 '엔켐'과 함께 리튬염 생산업체 '이디엘'을 공동 설립하며 2차전지 소재 유통사업에 진출함.

청담글로벌

- 시가총액: 2,082억원

- 성장 잠재력이 높은 Beauty&Life 제품들을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인 브랜드로 안착할 수 있도록 컨설팅, 마케팅 및 유통을 일원화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E-Commerce 기업임.
- 2024년 1월에는 아이돌 굿즈기업인 아이돌스토어(유)의 지분은 100%인수하여 동사의 자회사가 되었음.
- 연결대상 자회사로는 ㈜바이오비쥬, ㈜프로비티축구클럽, (주)바이슈코가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