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관심종목

6월 11일 관심종목(알테오젠, 대주전자재료, 한전산업, 국순당, 하이드로리튬, 나노신소재, 카페24)

by Dobby_Chloe 2024. 6. 11.
728x90
반응형

 

알테오젠

머크, 키트루다 피하주사 제형 전환 가능 언급 속 동사 기술이전 로열티 기대감 지속에 급등

- 시가총액: 15조 676억원

- 동사는 2008년 설립되어 2014년 기술특례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바이오기업임.
- 보유 원천기술인 NexP™ 융합 기술, NexMab™ ADC 기술 및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음.
- 동사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기반기술로 주요 글로벌 제약업체들과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였고, 자체 개발제품(ALT-BB4)인 테르가제주는 임상시험 완료후 국내 식약청의 품목허가를 신청함.

 

대주전자재료

2차전지 및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테슬라 2170 배터리에 실리콘음극재 적용 예정에 따른 테슬라 공급망 신규 편입 기대감 부각에 급등

- 시가총액: 2조 4,119억

- 동사는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부품용 소재를 종합적으로 개발, 제조, 양산할 수 있는 전자재료 전문기업.
- 생산 제품들은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칩형 전자부품에 응용되는 칩부품용 전극재료와 LED용 형광체, AMOLED 재료, 태양전지용 전극재료, 이차전지 음극재료 등이 있음.
- LED용 형광체는 LG화학 형광체 사업부를 인수하여 세계 2위의 생산능력을 확보함.

 

 

< 키움증권 - 실리콘 음극재 상용화의 원년, 24.05.14 >

1Q24 영업이익 50억원(+2,766%YoY) 기록
1Q24 실적은 매출액 463억원(-3%QoQ, +24%YoY), 영업이익 50억원(+84%QoQ, +2,766%YoY)으로 시장 컨센서스(영업이익 42억원) 상회 및 당사 추정치(48억원)에 부합했다. 실리콘 음극재 및 형광체 부문의 출하량이 크게 증가했으나, 고객사 재고조정에 따른 태양전지 소재의 실적 부진으로 매출은 전분기비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전년비 큰 폭 성장한 전장용 소재의 규모의 경제 달성 및 기존 사업부들의 회복세에 따른 가동률 상승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특히 실리콘 음극재 사업부의 경우 샘플 매출 포함, 주요 탑재모델인 포르쉐 타이칸 2024년형 Facelift와 관련된 제품 출하가 본격화됨에 따라 1Q24 흑자전환했다.

 

2024년 영업이익 282억원(+355%YoY) 전망
2024년 실적은 매출액 2,634억원(+42%YoY), 영업이익 282억원(+355%YoY)을 기록할 전망이다. 올해는 실리콘 음극재와 형광체 부문의 실적이 큰 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실리콘 음극재의 경우, 출하량이 2분기에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3~4개 차종 추가 납품 추정), 매분기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적용 차량도 연초 2개 차종에서 연내 7~9개까지 본격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첨가량도 기존 5%에서 7~8%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여 매출액이 +196%YoY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에 발맞춰 CAPA 증설도 진행 중에 있어, 23년 3,000톤/년에서 올해 7,000톤/년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전사 수익성의 경우 제품 믹스 개선으로 올해 두 자릿수의 영업이익률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중장기 성장 기대감 확대
동사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보는 배경은, 1) 북미 JV 공장 향 출하 시작 기대감 형성, 2) 글로벌 IT사 향 IT용 실리콘 음극재 판매, 3) 실리콘 음극재 R&D 진행하는 곳의(약 30개 추정) 동사 제품 도입 확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현 구간은 투자가 집중되는 시기이므로 실리콘 음극재 부문의 수익성 개선이 제한적이나, 내년부터는 Ramp-up에 따른 규모의 경제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EV/전동공구에 국한된 실리콘 음극재 기술이 IT용으로도 확대 가능할 것으로 보여, 향후 Application 확대도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한다. 실적 추정치 상향 조정 반영해 목표주가는 120,000원으로 조정하고, 투자의견 ‘BUY’를 유지한다.

 

 

한전산업

- 시가총액: 4,222억원

- 1990년 4월 설립된 동사는 발전설비 운전·정비 그리고 전기계기의 검침·송달 및 신재생에너지 관련사업 등을 주요사업으로 영위.
- 석탄취급설비, 환경설비 등 연료환경설비 분야의 운전 및 정비를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2009년부터 인도, 칠레, 태국 등에 기술인력을 파견하여 정비업무를 수행중임.
- 터빈보일러 주설비 정비시장에서도 안정적인 업무수행과 기술력을 인정받아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형성함.

 

 

국순당

K-푸드 인기 속 막걸리 수출 확대 소식 등에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시가총액: 1,254억원

- 주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83년 배한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1992년 ㈜국순당으로 상호를 변경함.
- 전통주의 대중화와 복원을 회사의 이념으로 하여 전통누룩 및 조효소제 기술을 바탕으로 술을 제조하여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도매점 및 할인점/슈퍼마켓/백화점 등의 판매망을 보유함.
- '백세주마을'이라는 직영 음식점을 통하여 우리 전통술 및 다양한 안주를 소비자에게 판매하고 있으며, 전국에 2개의 직영매장을 운영함.

 

하이드로리튬

리튬 테마 상승속 '볼리비아 염호개발 4단계' 진입 소식에 급등

- 시가총액: 3,317억원

- 동사는 토목자재 부품제조 및 판매, 시공, 연구개발을 사업목적으로 1995년 설립되었음.
- 2022년 10월 13일 리튬플러스에 인수되어 이차전지 소재제조 및 판매사업, 전기전자 반도체 재료의 제조 및 판매업, 폐전지 재활용사업, 광물자원 개발 및 판매업 등 신규사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하였음.
- 신기술 개발을 통해 지속적인 지적재산권 확보에 주력하여 2023년말 기준으로 특허 14건, 디자인 16건을 소유하고 있음.

 

 

나노신소재

2차전지 및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시가총액: 1조 7,257억원

- 동사는 2000년 설립되어 2011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 원재료인 금속 또는 비금속 Metal을 구입하여 초미립 나노 분말로 합성하고 이를 다시 고체인 Target 형태나 Paste/Sol/Slurry 형태의 액상으로 제품화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함.
- 이러한 기술을 통해서 디스플레이 패널시장 및 태양전지 시장, 반도체 CMP공정에 투입되는 소재 제조 그리고 이차전지 전극에 적용되는 CNT도전재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카페24

유튜브 쇼핑 사업 확장 수혜 기대감 지속에 급등

- 시가총액: 7,543억원

- 전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온라인 비즈니스를 영위하길 원하는 '판매자(Merchant)'를 대상으로 원스톱(One-stop) 이커머스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IT 플랫폼 기업임.
- 오픈마켓 연동서비스는 쿠팡,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등 외에도 아마존, 라쿠텐 등과 같은 해외 현지 유력 마켓 플레이스와도 연동 가능함.
- '카페24 개발자센터', '카페24 스토어'를 통해 전자상거래 생태계 조성 및 플랫폼 고도화 진행 중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