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관심종목

6월 7일 관심종목(알테오젠, 에코프로머티, 우양, 태성, 원익QnC, CJ씨푸드, 카페24, 에스티팜, 우림피티에스, 신성에스티, 에코앤드림, 피에스케이홀딩스)

by Dobby_Chloe 2024. 6. 8.
728x90
반응형

알테오젠

- 시가총액: 14조 2,970억원

- 동사는 2008년 설립되어 2014년 기술특례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바이오기업임.
- 보유 원천기술인 NexP™ 융합 기술, NexMab™ ADC 기술 및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음.
- 동사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기반기술로 주요 글로벌 제약업체들과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였고, 자체 개발제품(ALT-BB4)인 테르가제주는 임상시험 완료후 국내 식약청의 품목허가를 신청함.

 

에코프로머티

- 시가총액: 8조 5,611억원

- 동사는 2017년 4월 주식회사 에코프로지이엠이라는 사명으로 설립되어 2022년 3월 에코프로머티리얼즈로 사명을 변경함.
- 2차전지용 하이니켈 양극재의 전구체 생산 및 판매를 전문적으로 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동사가 생산하는 전구체는 EV, 전동공구, ESS 산업 등에서 다양한 제품군의 배터리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사의 전구체 생산시설은 포항시 영일만 산단 내 위치하고 있음.

 

우양

- 시가총액: 1,478억

- 동사는 1992년 설립되었으며 농축수산임산물 및 과실통조림/유사조제식품/즉석조리식품 제조, 수출입 등 식품제조업을 전문으로 한 사업을 영위.
- ‘뉴뜨레’와 ‘쉐프스토리’라는 자체 브랜드를 통해 일반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할 수 있는 제품라인업 및 판매망을 확장함.
- 주요 매출처는 CJ제일제당, 풀무원식품 등과 같은 제조유통사와 스타벅스, 이디야, 할리스 등과 같은 외식 프랜차이즈업체이고 식품 사업에 필요한 다양한 제조솔루션을 제공함.

 

< 유안타증권 - 기관NDR후기:냉동김밥 미국 수출 시작, 24.05.24 >


‘품절대란’ 냉동김밥 업체 중 유일한 상장사
동사는 3Q24부터 미국 대형마트에 냉동김밥을 공급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미국 대형 마트 3곳으로부터 동시에 러브콜을 받고 있는 상황으로, PB 또는 자체 브랜드 제품으로 납품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7~8월에는 국내에도 OEM 제품으로 대형마트에 냉동김밥을 출시할 계획이다. 동사의 냉동김밥 월 CAPA는 120만개 수준으로 국내 2위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냉동김밥 연 매출 CAPA는 약 200억원으로 추정되며, 올해는 100억원 이상의 매출이 예상된다.

 

냉동김밥은 최근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K-푸드 열풍을 선도하며 품절 대란을 일으키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냉동김밥을 수출하는 기업은 3곳이며, 월 수출 물량은 약 200~300만 개 로 추정된다. 지난 4월 냉동김밥의 수출 금액은 약 605만 달러로, 전년 대비 531.5% 급증한 수준이다. 특히 올해 들어 수출 성장세가 가파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K-푸드 인기로 공급 부족 현상이 지속될 전망이다. 동사는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부지 확보에 따른 투자비용 절감으로 경쟁사 대비 효율적으로 생산 CAPA를 늘릴 수 있는 강점이 있다. 또한 냉동김밥을 생산하는 기업 중 유일한 상장사로서 수혜가 온전히 반영될 것으로 기대된다.

 

냉동김밥 외에도 혼합음료 ‘컨디션’, 잡채, 떡볶이, 짬뽕 등 HMR 신규 아이템 생산을 앞두고 있어, 올해 추가적인 외형성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전망이다.

 

올해부터 수익성 극대화 전망
지난해 북미 코스트코에 납품했던 핫도그는 6개월 초도물량 소진 후, 오는 6월부터 월 오더 방식으로 안정적인 매출이 발생하게 된다. 북미 외 대만, 호주, 일본 등 코스트코 매출 확대도 나타나는 중이다. 하반기부터는 코스트코 외 미국 대형 마트로 핫도그 제품이 신규 공급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올해부터 국내 CJ, 풀무원향 핫도그 제품 단가가 3~4% 인상되었고, 치즈 내재화, 대두 등 원재료 가격 하락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출 성장 및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이에 2024년 동사의 매출액은 2,170억원(YoY +13.4%), 영업이익 100억원(YoY +669.2%, OPM 4.6%)으로 예상한다.

 

태성

- 시가총액: 2,445억원

- 2006년 6월 설립되어, 2022년 6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PCB 정면기 등 자동화기계의 개발,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PCB자동화 생산에 필요한 핵심설비인 습식설비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며, 식각, 표면처리 관련 설비 및 자동화 설비를 주력 제품으로 함.
- 또한 카메라모듈사업부 및 2차전지사업부를 신설하여 특허 취득 및 시설투자를 진행하여 양산준비 중에 있음.

 

원익QnC

- 시가총액: 1조 765억원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석영제품(쿼츠)와 산업용 세라믹을 제조하는 업체로 2003년 11월 원익으로부터 기업분할로 설립됨.
- 사업부문은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 및 쿼츠원재료 등 5개이며, 쿼츠부문은 4개, 쿼츠원재료 부문은 9개, 세정부문은 3개의 해외 종속기업을 포함하고 있음.
- 2020년 미국의 반도체용 소재 전문회사인 모멘티브사의 쿼츠/세라믹 부문 4개사를 인수함. 2022년 11월 일본 쿠러스텍을 인수함.

 

< 유안타증권 - 2025년 본업 영업이익 1000억원, 사상 최대 실적 기록 전망, 24.05.29 >

2분기 예상 영업이익 353억원
  동사 2분기 예상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216억원(YoY +9%, QoQ +2%), 353억원(OPM 16%, YoY +26%, QoQ +8%)으로 추정. 1)국내 메모리반도체 고객들의 가동률 회복 및 Migration 투자, 2)해외 T사 중심의 물량 회복 강도가 예상대비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쿼츠/세정 실적 성장에 대한 가시성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 
  참고로 동사는 반도체 Downcycle에서도 2023년 연간 Capex를 1,800억원 수준 집행하며 쿼츠 중심의 선제적인 Capa를 확보한 바. 2025년 해당 부문의 예상 매출액이 4,000억원을 육박하고, '모멘티브외' 본업부문의 연간 영업이익이 1,000억원(OPM 17%)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판단임.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5만원으로 커버리지 개시
  동사의 2024/2025년 연결기준 연간 영업이익은 각각 1,507억원(OPM 16%, YoY +82%), 1,950억원(OPM 19%, YoY +29%)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쿼츠부문 2024/2025년 연간 영업이익은 각각 492억원(OPM 15%, YoY +97%),  781억원(OPM 19%, YoY +59%)으로 전사 실적 성장을 견인할 것. 1)2H24 대만법인 주력

고객사의 가동률 회복 및 4nm 이하 선단공정향 신규 아이템 진입을 기대하며, 2)특히 2025~2026년 메모리반도체 Capex 재개가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하는 가운데, 전공정 투자 모멘텀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 동사 실적에 긍정적.
  세정부문의 전사 영업이익 기여도는 2025년기준 15%로 확대될 것. 인텔/삼성전자를 포함한 북미 Foundry Capex 확대에 따른 수혜 때문. 2022년말 인수한 동사 Deposition  Technology 실적 회복세가 감지되고 있으며, 2H24 지나면서 보다 본격화될 것.

 

CJ씨푸드

- 시가총액: 1,764억

- 1976년에 삼호물산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1985년 국내 최초로 위생·고급 어묵인 "삼호어묵"을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내수식품사업에 참여.
- 2012년 (주)우성과 합병을 통한 김 부문 사업확장으로 수산가공식품회사로 성장하였으며 CJ제일제당의 중앙연구소와 연계된 품질관리시스템을 운영함.
- 내/외식 수요의 변동과 식문화 다변화, 간편식 선호 등 전반적인 시장 변화에 따라 이에 맞는 신제품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카페24

- 시가총액: 6,851억

- 전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온라인 비즈니스를 영위하길 원하는 '판매자(Merchant)'를 대상으로 원스톱(One-stop) 이커머스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IT 플랫폼 기업임.
- 오픈마켓 연동서비스는 쿠팡,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등 외에도 아마존, 라쿠텐 등과 같은 해외 현지 유력 마켓 플레이스와도 연동 가능함.
- '카페24 개발자센터', '카페24 스토어'를 통해 전자상거래 생태계 조성 및 플랫폼 고도화 진행 중임.

 

< 신한투자증권 - 조용히 열일중인 유튜브쇼핑, 24.06.07 >

유튜브쇼핑 업데이트로 영업환경 개선 전망
  카페24는 매출액 업사이드를 얼마나 보느냐에 따라서 밸류에이션이 달라지는 기업(1Q24 매출대비 인건비/감가비 비중 49%). 1Q24 실적발표 이후 주가가 46% 상승하면서 5/9 보고서에서 다룬 투자포인트 ‘낮아진 주가 + 비용 절감에 따른 본업 턴어라운드’를 대부분 반영

 앞으로 편안한 주가 상승을 위해서는 유튜브쇼핑 성과(국내 GMV 성장률) 증명이 더욱 중요해질 것. 현재로서는 유튜브쇼핑 매출 기여를 추정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파트너사인 구글이 생태계 확장에 적극적인만큼 영업 환경 자체는 계속해서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

 

유튜브쇼핑 업데이트 내용

  정리 구글이 예상보다 국내 유튜브쇼핑 생태계 확장에 적극적인 모습. 1) 6/4 쿠 팡이 첫번째 쇼핑 제휴 파트너사로 합류. 크리에이터들은 자체 브랜드外 쿠팡 상품도 영상에 태그할 수 있게됨. 예를 들어 쿠팡 파트너스 활동이 더보기/고정댓글 → 태그로 확장되는 것(2p 그림 참고)

  언론에 따르면 2) 6월내 세계 최초로 유튜브쇼핑 전용 스토어 기능 오픈. 세부 내용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용자 쇼핑 동선이 외부링크 → 유튜브 웹/ 앱내까지 확장되지 않을까 추정. 관련 솔루션은 카페24/구글 공동 개발

 

Valuation

1Q24 리뷰 대비 현저한 사업환경 변화 아직 없다고 평가해 실적 추정치 변경하지 않음. 2Q GMV 성장률/유튜브쇼핑 개편 내용 확인 후 변경 예 정. 현재 주가는 신한 추정치 기준 24/25F PER 33배, 29배. 컨센서스 기준 42배, 24배

에스티팜

- 시가총액: 2조 1,173억원

- 동사는 2008년 8월 18일 유켐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10년 9월 30일 삼천리제약을 흡수합병하면서 상호를 에스티팜으로 변경하였음.
- 주요 제품은 신약 원료의약품이며 세부적으로 RNA 치료제의 주원료인 올리고와 저분자 신약 CDMO 그리고 제네릭 CMO 사업, 자체신약 개발로 사업 영역을 나눌 수 있음.
- 희귀질환 위주로 개발되던 올리고핵산치료제가 만성질환으로 그 개발 영역이 넓어지면서 올리고 원료 수요가 증가함.

 

우림피티에스

- 시가총액: 1,133억

- 동사는 제철.에너지.건설.운반하역.플랜트 등에 적용되는 제철설비/산업용 기어박스와 중장비용 기어박스, 정밀감속기 등 기어박스와 대형정밀기어 등을 생산.판매하고 있음.
- 2023년 4분기 기준 건설중장비용 기어박스와 제철설비.산업용 기어박스가 각각 전체 매출의 58%와 42%를 차지하는 매출구조를 가지고 있음.
- 40년 동안 축적된 설계기술력과 인지도 그리고 최신설비를 갖춘 대량 생산시스템과 다품종 소량 수주 생산시스템을 동시에 보유.

 

< 한국IR협의회 - 시작된 Turn around, 24.05.20 >

산업용 감속기 및 트랜스미션 전문업체
  파워트레인(Power Train) 분야 제철설비, 건설중장비, 풍력발전기, 셰일오일 설비에 소요되는 감속기 전문 기업. 최근에는 로봇, 항공, 방산 등 초정밀 기어박스 분야에 개발 역량을 집중하며 사업 영역 확대 중. 2023년 사업별 매출액 비중 제철설비(산업용 감속기) 42.4%, 건설장비(트랜스미션) 57.6%으로 구성됨

 

1H24 드라마틱한 실적 턴어라운드
  2024년 상반기 매출액은 YoY +38.4% 증가한 396억원, 영업이익은 YoY +136.0% 증가한27억원 전망. 1H24 실적 성장은 독일 엔지니어링 기업인 SMS향 매출 성장에 기인. 2023년 고객사의 프로젝트 추진에 따른 설비투자 증가, 감속기 부품 수주에서 나아가 턴키 수주를 확보하며 동사의 수주 규모가 대폭 확대되었음. 2023년말 SMS향 수주잔고는 200억원을 상회한 것으로 파악되며 수주잔고의 대부분이 올해 상반기 중 인식될 가능성이 높음. 관련 실적은 동사의 제철설
비 사업으로 반영되고 있음.
  제철설비 사업 매출액은 1H24 +142.3% YoY, 2024F +74.1% YoY로 드라마틱한 성장세 달성할 전망. 한편 동사는 최근 2년간 제철설비 분야에서 양질의 수주 확보를 통해 체질 개선이 진행되고 있음. 이러한 효과로 연결 매출원가율은 2022년 이전 85%를 상회했으나 이후 80% 초반으로 개선됨.  2024년 원가율 개선세와 함께 가파른 외형성장이 더해지며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도 가능할 전망

 

2024년 최대 매출액 경신 기대

1분기 호실적을 시작으로 상반기 실적 모멘텀이 돋보일 것으로 판단됨. 1Q24 실적은 매출액 211 억원(+37.2% YoY), 영업이익 14억원(+107.1% YoY)으로 호실적 달성. 2024년 연간 실적은 매 출액 725억원(+26.4% YoY), 영업이익 46억원(+87.2% YoY)을 추정하며 역대 최대 매출액을 기록할 전망. 2024년 연간 사업별 매출액은 제철설비 423억원(+74.1% YoY), 건설장비 302억 원(-8.7% YoY) 예상. 전체 매출액 대비 수출, 내수 비중은 각각 75%, 25%를 전망함

 

 

신성에스티

- 시가총액: 3,625억원

- 동사의 명칭은 "신성에스티 주식회사"이며, 영문명은 "Shinsung ST Co., Ltd."로 표기함. 전기자동차, ESS용 배터리부품 사업을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 2차전지 사업부문은 동사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력 분야로 원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생산 자동화 프로세스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확장하고 있음.
- 2024년 1분기 주요 매출처로 LG에너지솔루션, LG이노텍(주), LSEV코리아(주) 등이 있음.

 

 

에코앤드림

- 시가총액: 5,842억원

- 동사는 화학소재 전문기업으로, 기초화학기반 핵심 소재 개발을 통해 촉매시스템에 사용되는 원천 기술을 개발하여 상용화에 성공함.
- 주요 사업부문은 촉매, 촉매시스템, 2차전지 사업으로 구분되며, 자동차용 매연저감 장치를 지자체에 공급하는 촉매시스템이 가장 높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신규 성장 동력인 2차전지용 양극화물질 전구체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소입경 전구체의 사용량 증가에 따라 양극활물질 전구체 증설을 완료하였음.

 

< 나이스디앤비 - 환경 및 이차전지 소재 원천기술 기반 글로벌 공급망 진출 소재 전문기업, 24.06.07 >

■ 환경 분야, 이차전지 분야 나노소재 원천기술 확보
에코앤드림(이하 동사)은 2004년 9월 설립되었고 2020년 7월 코스닥 시장에 이전상장한 중소기업으로, 이차전지(리튬이온배터리)에 사용되는 양극활물질 전구체 개발 및 제조 사업, 대기오염 저감을 위한 환경촉매 및 관련 시스템 개발 및 제조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동사는 양극재의 출력, 밀도를 향상하기 위해 전구체의 물성을 제어하는 원천기술
을 보유하고 있다. 동사는 NCM 배터리용 소재 개발 및 제조에 특화되어 있으며, 고객 맞춤형 양극활물질 전구체를 개발 후 납품하고 있다. 한편, 환경촉매 제조 분야에서는 유해 물질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촉매 조성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국내·외 환경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제품군을 출시하고 있다.

 

■ 리튬이온배터리 양극재 및 전구체 시장 전망 긍정적
동사는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배터리 양극활물질 전구체 개발 및 제조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 및 제품을 상용화하였다. 양극재는 리튬이온배터리 제조 원가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시장 진입 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양극활물질 전구체의 목표 시장인 글로벌 양극재 수요는 전기차 침투율 증가, ESS 수요 증가에 힘입어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 글로벌 공급 부족, 수주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증설 진행
동사는 2025년 1분기 이내에 새만금 산업단지 내 양극활물질 전구체 제조 공장 증설을 완료할 예정이다. 동사는 5년간의 장기 공급계약을 다수 체결하였고, 생산역량 제고를 위해 2030년까지 증설을 진행할 계획을 보유하고 있다. 동사는 증설에 따른 글로벌 고객사 확보로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공급망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피에스케이홀딩스

- 시가총액: 1조6,086억원

- 동사는 1990년 6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1997년 1월 7일 KRX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음.
- 2019년 4월 1일에 존속회사, 신설회사로 인적분할하고 존속법인은 피에스케이홀딩스로 신설법인은 피에스케이로 사명을 정하였음. 2020년 2월 1일에 피에스케이홀딩스(평택소재, 비상장)와 합병하였음.
- 현재 반도체장비(패키징 장비)의 제조와 판매(그 부속 부품 및 기술서비스 포함)라는 1개의 주된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 신한투자증권 - 시총 1.6조를 향하여, 24.05.20  >

HBM 공급망 최대 수혜

  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HBM 중심의 병목현상이 단기적으로 해소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HBM 공급망 중에서 관련 매출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에 수혜 강도가 강할 수밖에 없는 상황. 공격적인 HBM Capa 증설은 2025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실적 성장세가 지속 가능할 전망

 

1Q24 Review: 고마진 공정향 공급에 따른 수혜 공유

  1Q24 실적은 매출액 381억원(-4% QoQ), 영업이익 154억원(+10% QoQ)을 기록. 국내 매출액은 310억원으로 작년 연간 매출의 약 1/3 수준을 한 개 분기에 달성. 1) 장비 공급 대수 증가에 의한 레버리지 효과, 2) 일반 DRAM 대비 가격이 3~5배 높은 HBM 공정향 공급, 3) 비용 절감을 위한 운영 효율화는 전사 수익성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
  2024년 실적은 매출액 1,678억원(+77% YoY), 영업이익 614억원(+127% YoY)으로 전망. 메모리 생산업체의 공격적인 HBM Capa 증설(컨센서스 기준 23 → 24년, 삼성전자 95K, SK하이닉스 90K, 마이크론 27K)에 따른 동사의 Descum 및 Reflow 매출 성장세 지속 예상

 

Valuation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71,000원으로 상향. 목표주가는 SOTP Valuation을 통해 1) 피에스케이홀딩스 12MF EPS 2,692원에 Target PER 20배(HBM 공정 장비 고려), 2) 피에스케이 관계손익 12MF EPS 1,116원에 Target PER 15배(전통적인 전공정 업체 Valuation)를 적용하여 산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