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관심종목

1월 29일 관심종목 (이마트, 와이씨켐)

by Dobby_Chloe 2024. 1. 29.
728x90
반응형

이마트

 - PBR 0.18배 <- 시총 1조원 이상 가운데 가장 낮은 PBR<-기업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

- 제조업체 및 유통업체, 직수입 등 다양한 채널로 구매, 제조한 상품을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등 소비자를 직접 대면하거나 인터넷, 모바일 등의 매체를 통해 비대면 판매함.
- 대형마트 및 창고형 할인매장 154개점, 슈퍼마켓 263개점, 편의점 6,761개점, 복합쇼핑몰 7개점과 온라인 쇼핑채널 등을 운영하고 있음.
- 매장공간 재구성과 상품구성 최적화를 통해 기존점 성장에 매진할 계획이며, 신규 오픈 등을 통해 성장을 추진 중임.

이마트 주가차트

 

< 하나증권 - 대형마트 공휴일 의무휴업 폐지 코멘트, 1/23 >

1. 규제 폐지 가능성: 높음

  • 22일 정부는 민생토론회에서 대형마트 공휴일 의무 휴업 규제 폐지, 휴무일 온라인 배송 제한 해제 등 논의
  • i) 지난해부터 이미 지자체별로 의무휴업일 평일 변경 시행. 23년 2월 대구시 시작으로, 충북 청주시, 서울 서초구/동대문구 등으로 확산되며 의무휴업일 평일 변경 진행
  • ii) 실질적으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확대는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연구 대다수. 의무휴업의 가장 큰 취지는 전통시장 활성화와 소상공인 보호. 다만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에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소비자가 10명 중 1명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도 있음(한경협 조사)
  • iii) 정부의 내수 활성화와 규제 완화 의지가 강한 만큼, 공휴일 의무 휴업 폐지 가능성은 높다고 판단

2. 이마트 영업이익 최대 20% 증가 효과 기대

  • 의무휴업 폐지 시 대형마트와 SSM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이마트와 롯데쇼핑에게 긍정적
  • 단순 계산 시, 이마트 할인점 기준 매출 4%, 영업이익 20% 증가 효과 추산
  • 매출 기준 연간 4,800억원, GP 1,200억원(GPM 25% 가정) 증가, 단 인건비 등 비용 소용 감안 이익 700억원 내외 증가 전망
  • 공휴일 온라인 배송 허용의 경우 큰 영향 없을 듯
  • 이마트 PP센터 비중 총매출 기준 10% 미만(기존점 기여도 -1%), PP센터 비용 효율화 진행 중인 상황

3. 투자판단

  • 규제 폐지 가능성 긍정적 모멘텀
  • 다만 최종 법 개정으로 이어질지 지켜봐야 하고, 실적 개선으로 연결되기까지 시간 소요될 것
  • 대형마트의 경쟁력, 추세적 실적 개선과는 무관한 이슈
  • 그동안 대형마트 부진은 온라인화와 소량구매 확대 등 소비패턴 변화 영향도 컸다는 점 감안
  • 높은 주가 모멘텀 기대하기 한계 있음, 주가 10% 이상 상승은 과도하다고 판단

 

하나증권 리포트에는 재무제표가 없어서 1/22 IBK 투자증권 리포트에서 발췌해옴


 

와이씨켐

- 동사는 반도체 공정 재료 개발 및 제조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2023년 03월 영창케미컬에서 와이씨켐으로 상호변경함.
- ArF & KrF 포토레지스트용 rinse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고, residue defect 제거를 포함한 특수 목적의 ArF Immersion 공정용 risne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양산화하였음.
- 2028년까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내 신규 시설 및 설비 구축을 진행할 예정임.

와이씨켐 주가차트

 

< 하나증권 - IPO 주관사 업데이트 - 2024년 반등 전망, 23/12/26 >

 

4Q23 Preview : 바닥 다지는 중
와이씨켐의 23년 4분기 매출액은 147억 원(YoY -30%, QoQ -1%), 영업손실 24억 원(YoY 적자전환, QoQ 적자지속)을 전망한다. 반도체 고객사의 감산 기조가 하반기까지 지속되며 주요 제품의 매출 감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4분기 제품별 매출은 포토레지스트 소재 66억(YoY -40%, QoQ -14%), Wet Chemical 46억(YoY -24%, QoQ +10%), 포토레지스트 린스 17억(YoY -24%, QoQ +11%)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CMP 공정에 사용되는 텅스텐 슬러리는 11월 공급이 시작되었으며 매출규모는 7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2024 Preview : 업황 회복과 신제품 본격화로 실적 개선 기대
와이씨켐의 24년 매출은 834억(YoY +35%), 영업이익은 55억(YoY 흑자전환)으로 전망한다. 24년 주요 고객사의 일부 공장의 가동률이 전년대비 증가하며 포토레지스트 소재, PR 린스 등 주요 제품의 매출액 반등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신규 제품인 텅스텐 슬러리 공급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4년 제품별 매출은 포토레지스트 소재 355억(YoY +15%), Wet Chemical 177억(YoY 0%), 포토레지스트 린스 98억(YoY +46%), CMP 슬러리 122억(YoY +1,643%), 기타 82억을 기록할 전망이다. 주요 제품의 매출 회복 및 슬러리 매출의 본격화로 흑자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텅스텐 슬러리로 중장기 성장성 확보
텅스텐 슬러리 공급으로 와이씨켐의 중장기 성장성이 확보되었다고 판단한다. 슬러리는 웨이퍼를 평탄화하는 CMP 공정에서 사용되는 연마제다. 텅스텐 슬러리는 기존의 구리 슬러리 대비 연마도가 우수하고 전도성이 뛰어나 차세대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다. 24년 텅스텐 슬러리 공급이 본격화되며 외형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와이씨켐은 텅스텐 슬러리 외에도 ArF 포토레지스트, 글라스 기판용 포토레지스트 및 특수 폴리머, EUV 린스 등 지속적으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EUV 린스는 고객사 테스트 진행 중에 있으며 ArF 포토레지스트는 고객사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