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SK E&S와 합병설 및종속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 매각 기대감 부각 등에 급등
- 시가총액: 11조 5,840억
- SK가 2007년 투자사업부문을 영위할 SK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분할신설법인인 동사를 인적 분할함으로써 설립됨.
- 2009년 10월 윤활유 사업부문을, 2011년 1월 석유 및 화학 사업부문을 각각 물적 분할하였음.
- 사명을 SK에너지에서 SK이노베이션으로 변경하였으며 2018년 9월 말에 회사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FCCL사업을 넥스플렉스에 매각 완료함.
< 유안타증권 - 배터리 자금 부담음 언제 나아지나?!, 24.06.04 >
2024년 2분기 예상 영업이익 3,760억원, 감익
2024년 2분기 예상 실적은 ‘매출액 1.8조원, 영업이익 3,760억원(영업이익률 2.1%), 지배주주 순이익 294억원’ 등이다. 영업이익은 전분기 6,247억원 대비 △40% 줄어들면서 약세가 예상 된다. 정제마진 급락(OSP 반영 후 1분기 6.1$ → 2분기 3.0$)으로 정유부문 실적 감익이 크게 나타나 는 가운데, 배터리 부문도 적자폭이 줄어들지만 여전히 △2,000억원 대의 적자가 이어질 것이 다. 부문별 예상 손익은 ‘정유 1,725억원(전분기 5,911억원), 배터리 △2,611억원(전분기 △3,315억 원), 석화/윤활유/자원개발 5,453억원(전분기 4,993억원)’ 등이다.
2 ~ 3분기 정유설비 증설 및 배터리 저율가동 부담
2 ~ 3분기 정유와 배터리 동시 약세에 주의해야 한다. 1) 정유부문의 수익 지표인 싱가폴 정제 마진은 손익분기점인 배럴당 4 ~ 4.5$을 하회할 것이다. 쿠웨이트 Al Zour 62만b/d, 나이지리 아 Dangote 65만b/d, 멕시코 Olmeca 34만b/d 등 대형설비 가동이 집중되면서, 공급압박이 늘어난다. 4분기부터 완화될 전망이다. 2) 배터리 가동률 70% 전후로 부진해 적자 상태가 이어 질 것이다. 수율 90%, 가동률 90% 수준이면 손익분기점을 맞출 수 있는데, 2024년 상반기 공장별 가동률은 중국 85%, 유럽 70%, 미국 10 ~ 20%에서 머물러 있다. 총캐파 88GW에서 2분기 헝가리 30GW, 3분기 중국 33GW 증설 완공으로 인해, 가동률 회복은 더딜 전망이다.
목표주가 하향, 배터리 투자금 대책이 필요해!
2024년 2 ~ 3분기 실적 약세와 추가적인 재무 부담을 감안해, 2024년 적정주가를 20만원(직전 24만원)으로 하향조정한다. 배터리 7.5조원 등 총 Capex 9.5조원에 비해, 세후 EBITDA 3.5조 원으로, 6조원 규모의 외부 자금조달이 또다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간 영업손익은 2023년 1.9조원에서 2024년 2.0조원, 2025년 2.8조원(배터리 1,057억원 흑자 가정)으로 바닥을 다지고 있으며, PBR 0.42배로 바닥에 위치해 있어 현주가 레벨이 높지 않다는 판단이다.
DB하이텍
테슬라 반도체 위탁생산 추진소식 등에 급등
- 시가총액: 2조 5,352억원
- DB그룹의 주요계열사인 동사는 1953년 4월 28일에 설립되었으며, 반도체 제조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 웨이퍼 수탁 생산 및 판매를 담당하는 파운드리 사업과 디스플레이구동칩(DDI) 및 자사 제품을 설계, 판매하는 브랜드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 부천(FAB1)과 상우(FAB2) 두 곳에 공장을 두고 있으며, 해외 영업을 위해 미국법인과 대만, 일본, 중국 지사를 운영하고 있음. 2023년 반도체 설계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함.
< 미래에셋증권 - 최악을 반영한 것이 최대 장점, 24.05.31 >
투자의견 및 밸류에이션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를 57,000원(기존 76,600원)으로 하향하나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한다. 목표주가는 24F 추정 EPS 4,893원에 Target P/E 10.2배를 적용했다. Target P/E는 동사의 글로벌 피어그룹 가운데 밸류에이션이 가장 낮은 UMC의
24F P/E 컨센서스를 30% 할인했다.
업황 및 투자포인트
최근 급격히 수요가 개선된 AI 및 IT Set향 반도체와 달리 동사의 주요 제품군인 컨슈머, 산업용 반도체의 경우 본격적인 회복은 시작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가치사슬내의 상당수 업체들은 고객사 재고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비록 수요 회복에 시일이 소요될지라도 재고가 건전한 수준이면 재고 비축 수요부터 선행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동사의 경우 80% 이상의 고객에게서 1st vendor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기에 회복기에 가장 빠른 주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최근 미국 정부의 중국산 반도체에 대한 관세 인상(25% → 50%) 조치에 따라 대만 파운드리들의 가동률이 반등했다는 시장조사기관의 보고가 있다. Vanguard의 경우 75%, PSMC의 경우 85 ~ 90%, 그리고 UMC의 경우 70~ 75%의 가동률
상승이 전망된다. 동사의 경우에도 중장기적인 반사 수혜 작용 가능성이 있다.
실적 전망
동사의 1Q24 실적은 매출액 2,615억원(YoY -12.3%, QoQ -6.4%), 영업이익 410억원(YoY-50.5%, QoQ-2.8%)를 기록했다. 국내 고객사의 급작스러운 주문이 발생하며 출하량은 332K(QoQ -1.1%)로 양호한 수준을 기록했으나, ASP가 전분기에 이어 QoQ -6.1% 하락했다(사업보고서 기준). 2Q24 가동률은 소폭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며 매출액은 2,640억원(QoQ +1.1%), 영업이익 320억원(QoQ -21.7%)을 예상한다. 동사의 12MF P/B는 0.8배 구간까지 주가가 하락했다. 다만, ROE도역사상 저점 구간을 거치며 25년부터 소폭이나마 개선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한다. 최악의 업황 구간을 밸류에이션에 기반영 시켰다는 것이 큰 장점이라 판단하며 매수 관점 접근을 추천한다.
한선엔지니어링
엑슨모빌, 동해 유전·가스전 개발 사업 검증 소식에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 상승 속 급등
- 시가총액: 2,018억원
- 동사는 계측장비용(이하, 계장용) 피팅, 밸브 및 플러밍 전문 기업임.
- 석유화학, 조선, 해양, 방산, 육상/해상 플랜트, 우주항공, 반도체, 디스플레이, 수소연료전지, ESS 등 유체 흐름의 제어가 필요한 산업군에 S-LOK이라는 브랜드로 제품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음.
- 2012년 계장용 피팅 및 밸브 업체인 새한엔텍㈜의 시설 및 자산을 양수하여 계장용 피팅 및 밸브 제품에 대한 개발 및 생산을 시작함.
동방
종합 물류 테마 상승 및 尹 대통령, 3.4조원 규모 영일만 횡단고속도로 건설 추진 소식 속 자회사 포항영일만항운영을 통해 해당 지역 물류사업 진행 사실 부각에 급등
- 시가총액: 1,679억
- 동사는 1957년 7월 1일에 설립되어 1988년 8월 10일 상장함.
- 주요 항만 및 물류 거점을 통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여 초중량물 운송ㆍ설치와 3자 물류, 컨테이너터미널, 물류 센터 운영 등의 사업을 영위함.
- 최근 주요 항만과 배 부지 및 내륙 거점에 지속적으로 인프라 시설을 확보하고 최신 하역 설비와 특수장비ㆍ선박 도입을 통해 차별화된 물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함.
'주식 관심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 27일 관심종목(세명전기, 펩트론, 가온전선) (0) | 2024.06.28 |
---|---|
6월 21일 관심종목(포스코인터내셔널, 제룡산업, 그리드위즈, 제룡전기, GS) (0) | 2024.06.22 |
6월 17일 관심종목(현대로템, 제이앤티씨, 사조대림, LIG넥스원, 청담글로벌) (1) | 2024.06.17 |
6월 14일 관심종목(포스코인터내셔널, CJ씨푸드, 민테크, 에스앤디, 대상홀딩스) (2) | 2024.06.15 |
6월 13일 관심종목(한미반도체, 한국가스공사, 포스코인터내셔널, 와이씨, 카티스, 마녀공장, 중앙첨단소재, 청담글로벌) (2)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