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삼성전자 갤럭시 S24의 사전 예약이 19일부터 시작된 가운데 첫날부터 소비자들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에 대해 증시에서도 반영이 되었는데요. 세계 최초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스마트폰인 갤럭시 S24의 등장과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 TSMC의 실적 호조가 겹치면서 19일 휴대폰,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기술주가 대거 동반 급등세를 나타냈습니다.
19일에 갤럭시S24 출시와 관련하여 상승한 종목 중 '인터플렉스' 종목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인터플렉스(051370)
▶ 기업개요
- 동사는 1994년 설립되어 2003년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제조업체임. 베트남에 위치한 INTERFLEX VINA CO.,LTD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함.
-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등이 주요 고객사임. 영풍전자, 비에이치 등이 주요 경쟁사임.
- 현지 고객 요구에 따라 중국 및 베트남 출자회사에 CAPA 증설 투자를 진행하는 등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있음.
▶ 차트 분석
- 2023년 11,12월에 코스피 지수와 비교해보면 오히려 더 못갔음
- 2024년 1월부터는 코스피 지수가 떨어져도 인터플렉스는 보합을 유지하면서 16일~19일까지 상승세를 나타냄
- 19일에는 거래대금 1400억을 넘기며 시장을 이기는 개별주로 두드러짐

▶ 헬스케어, 메타 영억에 진출 (대신증권-박강호 연구원,1.19)
- 삼성전자 갤럭시링(헬스케어) 및 XR기기(메타) 출시 속에 수혜 예상
- 삼성전자 갤럭시링(헬스케어) 및 XR기기(메타) 출시 속에 수혜 예상
- 2024년 영업이익은 388억원으로 68%(yoy) 증가 추정
- 2024년 P/E 6.2배, 신규 매출 반영 시에 밸류에이션 확대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목표주가 17,000원으로 상향(13.3%)
2024년 주당순이익(EPS)에 목표 P/E 9.6배(2024년 업종평균) 적용하여 목표 주가를 17,000원으로 상향(13.3%). 투자의견 매수(BUY) 유지. 2024년 1월 16일 자료에서 2024년 주당순이익을 종전대비 25% 상향(2023년 4Q 및 2024년 실적 상향)한 점, 1월 18일 갤럭시S24 언팩 행사에서 갤럭시링 관련 한 신규 매출이 하반기 가능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 적용 밸류에이션 상향에 기인. 또한 2024년 하반기에 새로운 XR기기를 삼성전자가 출시할 예정, 추가 매출도 예상. 비중확대 유지.
삼성전자, 갤럭시링 공개 및 하반기 출시 전망으로 수혜 예상
1) 삼성전자의 MX 부문이 휴대폰 중심에서 헬스케어(갤럭시링) 및 메타(XR기기) 영역에 진출 확대, 새로운 하드웨어 기기를 2024년 하반기에 출시할 것으로 전망. 2024년 1월 18일에 스마트 반지 형태의 웨어러블인 ’갤럭시링 ‘ 공개(이미지 영상) 및 하반기에 출시 예상, 디지털헬스케어에 진출 전망. 갤럭시링은 건강,수면 등 다양한 신체 정보를 측정, 모니터링 역할을 담당. 스 마트폰과 연결성을 확대, AI 생태계의 확장 측면에서 새로운 기기로 평가. 인터플렉스는 R/F PCB형태의 메인 기판을 공급할 가능성 높음. 평균공급단가가 높아서 2024년 하반기, 2025년 실적개선에 기여 전망
또한 애플이 2024년 2월 2일(현지시간)에 MR헤드를 출시 예정. XR 시장 확대의 계기로 해석. 삼성전자도 모바일 기기의 라인업 확대 및 생태계 확장 차원에서 새로운 XR기기를 2024년 하반기에 출시할 것으로 추정. 차세대 XR기기는 단순한 게임보다 스마트폰과 연동된 새로운 모빌리티 기기로 확장, 장기적으로 의료, 산업용 분야에 적용 이후에 메타 환경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예상. 인터플렉스는 다층형태의 R/F PCB를 공급할 것으로 전망
영업이익은 2024년 388억원(68% yoy) 추정, 저평가 및 재평가 예상
2) 갤럭시S24에 새로운 기능인 구글의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와 생성형 편집 등 온디바이스AI 적용으로 고가 모델인 울트라 판매 비중이 높아질 전망. 서클 투 서치 기능의 활용 측면에서 S펜이 적용된 울트라 모델이 유리 하기 때문, S펜으로 원을 그리면 검색 결과를 확인, 또한 사진 편집, 보정을 AI가 해주는 과정에서 S펜을 활용하면 손쉽게 접근, 활용 확대가 가능하기 때문. 2023년 갤럭시S23 중 울트라 비중은 47%(추정, 갤럭시S22 울트라 43.7%)에서 갤럭시S24에서 55%로 전망. 울트라 모델의 판매 증가는 인터플렉스의 디지타이저(연성PCB) 매출 확대, 2024년 수익성 호조로 연결
3) 2024년 영업이익은 388억원으로 2023년(231억원 추정)대비 67.9% 증가 (yoy) 등 실적 호조 예상. 현 주가의 밸류에이션(2024년 기준)은 P/E 6.2배, P/B 1배로 매력적인 구간 판단. 삼성전자가 새로운 기기인 갤럭시링, XR기기 출시를 준비, 인터플렉스가 R/F PCB를 공급하면 신규 매출을 예상. 휴대폰 중심에서 헬스케어, 메타향 관련 매출 증가로 밸류에이션 재평가 예상
*온 디바이스 AI(On-Device Artificial Intelligence)란?
외부 서버나 클라우드에 연결되어 데이터와 연산을 지원받았던 기존의 클라우드 기반 AI에서 벗어나, 기기 자체에 탑재되어 직접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는 통신 상태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보안성이 높고 정보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기기 자체에 탑재되어 외부 서버나 클라우드에 연결되지 않고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로, '스몰 AI(Tiny AI)'라고도 한다. 기존 AI 서비스는 기기에서 수집한 정보를 중앙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데이터와 연산을 지원받는 방식으로 구동되어 왔다. 그러나 이는 통신이 불안정할 경우 서비스 이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었는데, 온 디바이스 AI는 기기 자체적으로 정보를 처리해 인터넷 연결이나 통신 상태로부터 자유롭다는 점에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온 디바이스 AI는 개인정보를 담은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보안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기기 내부에서 데이터를 처리해 정보 처리 속도가 빠르며, 정보 처리 비용도 절약할 뿐더러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직접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도 유리하다.
업계에서는 온 디바이스 AI를 기기에 장착함으로써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를테면 스마트폰,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등의 다양한 기기에 탑재되어 실시간 통화 통역, 위치 인식, 작동 제어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온 디바이스 AI는 개인정보를 담은 데이터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보안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기기 내부에서 데이터를 처리해 정보 처리 속도가 빠르며, 정보 처리 비용도 절약할 뿐더러 개인이 사용하는 기기에 장착되어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직접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도 유리하다.
업계에서는 온 디바이스 AI를 기기에 장착함으로써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이를테면 스마트폰,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등의 다양한 기기에 탑재되어 실시간 통화 통역, 위치 인식, 작동 제어 등 여러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지식백과] 온 디바이스 AI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728x90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위험' 개인투자용 국채 (금리, 신청방법, 장·단점, 증권사 리포트) (0) | 2024.01.22 |
---|---|
폴라리스오피스 종목분석 (feat.SK증권 리포트) (0) | 2024.01.21 |
더존비즈온 종목분석(Feat.한화투자증권 리포트) (1) | 2024.01.21 |
2024년 2월 공모주 청약(feat.에이피알, 코셈, 이에이트) (0) | 2024.01.19 |
2024년 1월 공모주 일정 (1)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