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관심종목

5월 17일 관심종목(알테오젠, 삼화페인트, 빙그레, 동구바이오)

by Dobby_Chloe 2024. 5. 18.
728x90
반응형

알테오젠

- 시가총액: 10조 510억원

- 동사는 2008년 설립되어 2014년 기술특례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바이오기업임.
- 보유 원천기술인 NexP™ 융합 기술, NexMab™ ADC 기술 및 히알루로니다제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음.
- 동사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기반기술로 주요 글로벌 제약업체들과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였고, 자체 개발제품(ALT-BB4)인 테르가제주는 임상시험 완료후 국내 식약청의 품목허가를 신청함.

 

< 현대차증권 - 머크가 목숨 걸었다, 24.03.04 >

머크 키트루다 SC 품목 독점 계약 성공. 계약도 공개. 총 마일스톤 1.4 조원 + 상업화 로열티까지

- 동사의 2020년 2차 계약사로 추정했던 머크가 드디어 공개 계약으로 전환, 계약 변경의 사유는 키트루다SC 품목 독점(PD-1 타겟은 비독점) 확보 위함. 추가 계약금 267억원과 함께 품목허가, 특허연장, 누적 순매출에 따른 마일스톤 최대 5,767억원 증액, 또한 상업판매에 따른 로열티 인 식하는 구조로 까지 계약을 변경

- 기존 2020년 계약 당시 5.1조원(38.65억 달러, 환율 1,300원 적용) 계약 당시 6개 제품으로 이 루어져 있어 1개 제품 당 8,450억원을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천장계약 구조였으나, 이번에 5,767 억원이 키트루다SC 제품에 한하여 증액되며 최대 1.4조원 마일스톤 인식 + 판매 로열티(비공개)

- 키트루다SC 매출은 ‘28년 총 매출 40조원 규모에서 약 50%를 변경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동사는 최대 5%에 해당하는 1조원/연간 로열티 수령 가능. 최근 로슈 티쎈트릭SC가 영 국 출시 후 1분기만에 18% 시장 전환하는 기록적인 성과 보여주며 전환 속도 우려 없음

 

머크에게 약속된 현금만 1.4 조원. 연간 수천억원 이상 현금흐름, 산도즈까지 연간 1 조원 넘는다

- 계약금과 단계별 마일스톤 + 증액 마일스톤을 구분하여 생각하여야 하는데, 기존 계약의 경우 마일스톤 총 규모 약 8,450억원 중 10%가 계약금과 임상 단계별, 허가성공 시 인식되는 구조

- 나머지 7,605억원과 이번에 증액 마일스톤 약 5,767억원이 합쳐진 1조 3,372억원이 키트루다 SC 전체 매출액에 약 5% 수준으로 계산되어, 특정 목표매출 달성 시 마다 인식되는 구조

- 예를 들면 키트루다SC가 ‘28년말까지 총 27조원을 누적 매출했다고 가정할 경우 여기서 5%에 해당하는 1.3조원 규모의 마일스톤이 특정 목표 매출 때마다 인식될 것으로 추정, ‘29년부터 판 매금액에 따른 로열티가 동사에 인식되는 것으로 추정 중 (로열티는 비공개 공시)

- 기존 계약은 17조원 매출을 달성할 때 까지만 마일스톤 지급으로 추정, 이번 증액 분으로 10조 원이 더해져 총 27조원까지 누적 매출에 따른 5% 로열티를 마일스톤 형태로 지급하는 조건

- 그 이후부터 판매 로열티로 수령한다는 것은, 기존 마일스톤에서 주던 비율을 변경했다는 뜻, 보 수적으로는 2%부터 할로자임의 계약 조건인 5%까지 가능할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음

 

머크 전체 매출액의 40%이상을 동사가 쥐고 있다. 섹터 내 새로운 대장주 등극.

- ‘29년부터 3%의 키트루다SC 매출에 따른 로열티가 인식되는 것으로 동사 가치 추정

- 우리나라 기업 중 머크와 같은 빅파마의 전체 매출액의 40%가 넘는 제품을 좌지우지하는 기업 이 있었는가? 전세계 가장 높은 매출액을 가지는 키트루다의 SC 제형이 동사의 기술로!

- 머크 공개 계약으로 앞으로 추가적인 빅파마 기술이전, 외국인 수급, MSCI 지수편입 등 기대감.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300,000원으로 상향. 섹터 Top pick & 대장주로 추천

 

 

 

 

삼화페인트

- 시가총액: 2,658억원

- 동사와 종속회사는 도료 및 화학제품 제조 부문, IT 부문, 기타 부문을 영위하고 있음.
- 도료 및 화학제품 제조 부문은 종합도료 제조사로서 건축용 도료, 공업용 도료 등 고품질의 제품을 국내 800여개 대리점 유통망과 기업 영업을 통하여 공급 중임.
- 도료는 건설업, 철강산업, 금속업, 자동차산업, 조선업 등 광범위한 전방산업의 마감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건축용/공업용 도료임.

 

 

 

빙그레

- 시가총액: 8,699억원

- 사업부문은 유가공 단일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온도대별로 냉장품목군과 냉동 및 기타품목군으로 이루어져 있음.
- 주요 제품으로는 '바나나맛우유', '요플레', '투게더', '아카페라', '따옴' 등이 있으며, 종속회사인 해태아이스크림의 주요 제품으로 '부라보콘’ 등이 있음.
- 동사는 식품의 수입, 수출, 유통 등을 위해 2014년 8월 중국 현지법인 및 2016년 7월 미국 현지법인, 2019년 9월 베트남 현지법인을 설립하였음.

 

< 하이투자증권 - 비수기가 걱정 없는 수준의 체질개선, 24.05.17 >

1Q24 Review: 시장기대치를 상회하는 영업실적 시현

  빙그레의 1Q24 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3,009억원 (+2.5% YoY), 211억원 (+65.1% YoY)을 기록했다. 비수기의 낮은 가동률과 성수기대비 레버리지 효과 축소에도 불구하고 23년부터 지속된 수익개선 흐름과 수출 성장, 원가부담 하락이 맞물리면서 시장기대치를 상회하는 영업실적 성장세를 시현했다. 전년동기 높은 베이스 흐름에도 최근 수익구조 개선세를 감안, 추정치 상향조정 가능성 또한 열어둔다.

  성수기대비 가동률 하락 등 계절적 비수기 영향은 존재하나, 국내외 냉장, 냉동부문 모두 호실적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내수의 경우 원유 등 투입단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주요 제품 매출액이 견조했으며, 판촉비용 효율화가 더해지면서 비수기 이익개선에 (+)영향이 확대되었다.

  계절적으로 1분기는 기온 하락에 따른 빙과의 전사 영업실적 기여도가 축소되는 시기로, 해태아이스크림 또한 계절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다만 시장악화 흐름에도 개별 빙과부문 매출액 증가는 시장지배력 확대 측면에서 두드러진다.

  해외수출 매출액 성장률은 +19.4% YoY를 기록하는 등 마진레벨 개선 요인이 추가되는 사업포트폴리오의 방향성이 긍정적이다. 해외 수출의 경우 주요 지역에 대한 수출 물량이 상반기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나 일부 분기 측면에서의 영업실적 변동에도 중장기 성장 기반으로서 유의미한 흐름이 이어질 전망이다.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00,000원으로 상향

  원유가격과 관련된 구조적 원가부담에도 불구하고 부문별 메가 브랜드 보유에 따라 안정적인 영업실적 시현이 지속되고 있다. 최근 고성장세를 유지하는 해외부문에 대해서도 중장기 측면에서의 현지 시장지배력 확보를 통한 영업실적 기여도 확대가 기대된다. 이미 주요 지역 내 메인 수출 제품의 시장 내 정착에 따라 여타 제품으로 포트폴리오가 확장하고 있다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현주가를 고려시 향후 국내외 영업실적 개선 가시화와 관련한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폭 확대 가능성을 염두할 필요가 있으며, 추가적인 경기회복과 관련해 소비개선에 대한 반응이 빠른 카테고리임을 감안, 기대치 이상의 성장 가능성 또한 유효하다는 판단이다. 영업실적 추정치 변경 및 target multiple 조정에 따라 목표주가를 기존 8만원에서 10만원으로 상향조정한다.

 

 

동구바이오

- 시가총액: 2,223억원

- 동사는 전문의약품, CMO, 의료기기, 화장품 등 의약품 및 의약외품 제조업 및 판매업을 영위하는 의약품 및 의약외품 사업부문이 있음.
- 또한 신기술사업금융업을 영위하는 신기술사업금융 사업부문, 동구바이오제약 및 타 제약사 의약품에 대한 마케팅 대행업을 영위하는 마케팅대행 사업부문을 보유.
- 신기술사업금융 부문에서 바이오텍/플랫폼/혁신기술기업 중심의 투자활동 및 모기업과의 시너지를 통한 차별적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사업을 진행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