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회사에서는 퇴직연금을 DC형으로 운용한다. 그래서 나 또한 입사하고 1년 된 시점에서 퇴직연금에 가입하기 위해서 여러 운용사 중 유일한 증권사인 미래에셋증권으로 선택했다. 회사에 입사한 지 1년 8개월이 되어가니 운용한 지는 약 8개월이 되었다. 앞으로 내 퇴직연금에 대한 운용상황에 대해서 정기적으로 글을 게시하려고 한다.
8개월 정도 운용한 결과, 누적수익률은 9.37%, 올해 수익률은 3.84%를 기록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11월 이전에는 기록이 없다가 수익률이 11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우리 회사가 스핀오프로 인해서 회사명이 바뀌어서 11월부로 리셋이 되어서 나타났다.
매번 MTS로 상위 5% 가입자들 보면서 저 분들은 어떤 상품에 가입했길래 수익률을 40%를 기록할 수 있을까 싶었었다. 근데 블로그 글을 쓰기 위해서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서 접속해서 내 퇴직연금을 보다 보니 수익률 상위 5% 이내 가입자들이 투자 중인 펀드에 대해서 나와있었다. 근데 펀드 상품이 다 TDF 상품이었다... 삼성, 한화, KB 등 다른 TDF 상품들의 수익률이 더 높았는데 왜 하필 다 미래에셋 펀드상품인지는 의문이다. 아무튼 나는 내가 직접 운용하는 게 좋으므로 TDF 상품은 패스하도록 하겠다.
▶ TDF(Taget date Fund) 란?
투자자가 설정한 은퇴 시점에 맞춰 투자자산과 안전자산 포트폴리오 비중을 전문가가 알아서 조절해 운용하는 자산배분형 펀드. 투자자 출생연도에 예상 은퇴 연령을 더한 값이 '타깃 데이트'가 된다. 예를 들어 1990년에 태어난 투자자가 예상 은퇴 연령을 60세로 설정하면 TDF 2050(1990+60)을 선택해 투자하면 된다.
내가 가입한 상품의 손익률 현황이다. 최근 2차전지 주식의 하락세로 인해 ETF 수익률 또한 처참하다. 하지만 괜찮다. 나에겐 미국 주식이 있다. 2차전지가 하락한 만큼 엔비디아는 날아갔다. 몇 달 전부터 퇴직연금이 입금되면 엔비디아 비중이 높은 ACE 글로벌반도체 ETF에 더 넣었었는데 참으로 잘한 선택이었다. 엔비디아의 상승률로 인해 퇴직연금 위험자산 투자한도 초과 안내를 카카오톡 알림톡으로 받고 있지만, 마음 같아선 나는 위험자산에 100%를 투자하고 싶다,, 마음이 아니라 실제로 가능했다면 그렇게 했을 것이다. 안전자산에 30%를 투자해야 하는 것이 참으로 아쉬운 점이다.
● ACE 글로벌반도체TOP4 Plus SOLACTIVE
역시.. 최근에 엔비디아의 상승률이 높아서 엔비디아의 비중이 가장 높은 ACE 글로벌반도체TOP4 Plus SOLACTIVE 상품의 이야기가 기사가 많이 나왔다.
25일 코스콤 ETF체크에 따르면 국내 증시에 상장된 반도체 ETF의 최근 6개월 수익률은 KODEX 미국반도체MV(31.07%), ACE 글로벌반도체TOP4 Plus SOLACTIVE(28.20%),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26.61%) 등으로 최대 5% 포인트 가까이 차이가 났다. 1년 수익률은 각각 76.21%, 65.23%, 74.36%였다.
< 한국투자 ACE ETF의 상품정보 >
엔비디아는 21.15%의 비중으로 ASML에 이어 두번째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네이버 증권의 해당 ETF의 1년간의 거래량 및 거래대금이다. 2023년 10월 31일 기준 6억 1200만 원이었던 거래대금이 11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4년 1월 26일 기준 36억 9200만 원이 되었다. 엔비디아가 10월 31일에 바닥을 찍고 11월 1일부터 주가가 상승한 것과 같은 이치일 것이다.
● KODEX 미국반도체MV
이 상품 또한 많은 기사가 나왔다. 반도체에 대한 주가가 상승하면서 사람들의 관심도 많이 높아진 듯하다.
KODEX 미국반도체MV
→ 미국 상장 대형 반도체 기업 25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ETF
IDM, 팹리- TSMC(파운드리), 인텔(IDM), NVIDIA(팹리스), ASML(반도체 장비), Micron(메모리) 등 미국에 상장된 대형 반도체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ETF입니다. 팹리스, 파운드리, 메모리반도체, 시스템반도체 분야 등 반도체 산업 전반에 종합적으로 투자할 수 있습니다.
→ 산업을 선도하는 대형 반도체 기업 비중이 높은 ETF
유동 시가총액 가중방식으로 구성종목 비중이 결정되며, 한 종목의 비중 상한이 20%로 대형주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MVIS US Listed Semiconductor 25 Index(KRW)를 기초지수로 하며, 해당 지수는 VanEck Vectors Semiconductor ETF (SMH ETF)의 기초지수와 동일합니다.
다음 주면 이 달의 퇴직연금이 입금될 예정이다. 퇴직연금 계좌에서 아직 KODEX 미국반도체MV의 비중이 가장 높아서 이번 달에도 ACE 글로벌반도체 Top4 Plus Solactive 상품에 다 넣을 예정이다. 퇴직연금이 많이 들어오면 더 많이 살 수 있을텐데 아쉬울 따름이다.
'퇴직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ER 미국나스닥 100(Feat.5월 퇴직연금 현황) (0) | 2024.05.18 |
---|---|
Kodex 미국반도체 MV(feat. 내 퇴직연금 현황) (0) | 2024.03.08 |
ACE 글로벌반도체TOP4 Plus SOLACTIVE (feat. 2월 내 퇴직연금 현황) (0) | 2024.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