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관심종목

7월 12일 관심종목(두산로보틱스, 대동기어, 알체라, 코오링티슈진)

by Dobby_Chloe 2024. 7. 12.
728x90
반응형

두산로보틱스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두산그룹, 지배구조 개편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시가총액: 6조 8,515억원

- 동사는 산업용로봇 중에서 협동로봇 제조 및 솔루션 제공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 2015년 4개의 협동로봇을 개발하였고 2020년 6개의 모델을 추가 출시하면서 협동로봇 시장에서 최대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음.
- 협동로봇에 토크센서 방식과 중력보상기술을 적용하여 안정성과 정밀성을 향상시켜 안전 등급 중 최고수준인 Performance Level e등급과 Category 4 등급을 취득하여 최고수준의 제품성능을 보유함.

 

< 미래에셋증권 - 글로벌 협동로봇 시장 지배력 확장일로, 24.06.24 >

1Q24 Review

동사는 1Q24 매출액 109억 원 (+3.1% YoY), 영업이익 -6.9억 원 (적자지속)을 시 현했다. 로봇시장이 1) 고금리, 2) 지정학 리스크, 3) 유럽 회복세 지연 등 비우호적 인 환경임에도 동사는 전년 대비 Flat한 성장률을 유지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다 만, 1) 당분기에 CES 행사 및 R&D 투자 세액공제 관련 일회성 비용으로 영업적자 폭이 커진 것과 2) 재고자산 증가와 매출 둔화로 인해 재고자산회전율 (21년: 6.8회 → 23년: 3.9회)이 지속 하락하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사업 확장전략은 차질없이 진행 중

1) 신규 솔루션 및 신제품 출시: 신규 솔루션 및 제품 (P시리즈) 출시에 따라 1Q24 E시리즈/솔루션 매출액이 23억 원 (+28.9% YoY)을 기록했다. 하드웨어 외에도 AI 협동로봇 솔루션까지 확대해나가며, 소프트웨어 역량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2) 북미지역 판매 본격화: 1Q24 북미 매출액 35억 원 (+79% YoY)을 달성했으며, 북미 현지법인 판매 본격화에 따라 24년 온기로 큰 폭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매 출 드라이버는 신제품인 P시리즈가 될 것이다. 물류/운송 팔레타이징 특화 제품으로 가반하중 30kg, 작업반경 2030mm 지원하는 High-spec 협동로봇이다.

3) 해외 채널 확대: 24년 해외 판매채널을 81개→109개 (+34.6% YoY)로 넓힐 계 획이며, 26년까지 219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주력 판매시장인 북미와 서유럽 내 채 널 수를 늘리고, 미진출 국가 (중남미, 동남아)에 신규 진입하여 판매역량을 강화하 할 전망이다. 당장 5월 유럽지사 설립에 따라 2H24 유럽향 매출회복이 기대된다.

 

다가올 미래를 위해 역량을 확보할 시기

현재 로봇산업은 고금리 환경으로 인해 잠시 부침을 겪고 있으나, 결국 다가올 미래 이다. 저출산과 인력난은 이미 많은 국가에서 관찰되고 있다. 또한, 연관 산업인 AI 가 급격한 발전을 이루고 있어, 향후 로봇산업 부흥도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 한국 정부는 24년 1월 ‘4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통해 30년까지 3조 원 이상을 투입 하여 첨단로봇 100만 대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지금은 당장의 이익성장보 단 핵심기술과 제품군, 고객 등 향후 실적의 저변이 될 역량을 확보할 시기이다.

 

 

< 신한투자증권 - 두산밥캡, 24.07.12 >

▶ 두산로보틱스와 포괄적 주식 교환, 상장폐지 계획 발표

- 7/11 장종료 후 공시를 통해 지배구조 재편 방안을 발표

- 두산에너빌리티 자회사인 두산밥캣을 두산로보틱스 자회사로 편입, 공개매수를 통한 100% 지분 매입으로 상장 폐지 예정

- 두산에너빌리티를 사업회사와 투자회사로 분할 후 두산밥캣이 속한 투자회 사를 두산로보틱스 지분과 맞교환

- 일정은 7/11 이사회, 7/29 주주확정 기준일, 9/25 주주총회, 9/25~10/15 주식매수 청구권 행사기간, 9/25~10/25 채권자 이의제출기간, 분할합병기일 10/29, 주식교환일 11/5, 신주 상장예정일 11/25

- 두산로보틱스 합병가치는 5.19조원, 주당 80,114원, 두산밥캣 교환가치는 5.07조원, 주당평가액 50,612원. 교환비율은 두산로보틱스1, 두산밥캣 0.63

 

▶ 로보틱스와 밥캣의 시너지

- 두산로보틱스는 선진시장 고객 접점 확대, Reference 구축을 통한 매출 증대, 전문 서비스 시장 선점

- 두산밥캣은 향후 고성장이 예상되는 로봇 산업에 진출하여 기존 제품의 기술혁신 가속화 및 신성장 동력 발굴 추진

- 글로벌 통합 무인화/자동화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의 성장

 

▶ 로보틱스와 밥캣의 시너지

- 두산로보틱스는 선진시장 고객 접점 확대, Reference 구축을 통한 매출 증대, 전문 서비스 시장 선점

- 두산밥캣은 향후 고성장이 예상되는 로봇 산업에 진출하여 기존 제품의 기술혁신 가속화 및 신성장 동력 발굴 추진

- 글로벌 통합 무인화/자동화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의 성장

 

 

대동기어

두산로보틱스, 두산밥캣을 자회사로 편입에 따른 사업재편 수혜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시가총액: 901억원

- 동사는 농업기계, 선박기, 원동기, 자동차, 공작기계기어 및 부품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973년 5월에 설립되었음.
- 자동차, 농기계 및 산업기계 등의 동력전달장치용 부품 및 트랜스 밋션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 동사의 전체 매출액 중 농기계용이 63.7% , 자동차용이 30.8% 산업용이 5.5% 비율의 매출액을 차지하고 있음(2024년 1분기 기준).

 

알체라

두산로보틱스, 두산밥캣을 자회사로 편입에 따른 사업재편 수혜 기대감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 시가총액: 637억원

- 동사는 인공지능 영상인식 분야에서 토탈 솔루션 기술을 제공하고 있음.
- 안면인식 기반의 결제 시스템 구축, 모바일 뱅킹, 신분증 확인 등에 적용되며, 출입국 및 공공기관의 출입 등 보안과 관제 영역까지 관리할 수 있는 On Premise와 SaaS 모델을 제공함.
- 또한 원격 의료 및 임상시험 등에 사용되는 Digital Healthcare 솔루션도 공급하고 있음.

 

코오링티슈진

TG-C(인보사) 美 임상 3 상 투약 완료 소식 부각에 상한

- 시가총액: 1조 4,234억원

- 동사는 인대손상치료, 연골재생촉진제의 연구, 개발, 생산, 판매 및 생명공학 분야 연구, 개발, 생산, 투자를 목적으로 1999년 6월 설립됨.
- 주력 개발품목인 INVOSSA(이하 'TG-C')는 골관절염 세계 최초 세포 유전자 치료제로 미국 임상을 진행 중.
- 2017년 8월 코오롱웰케어(주)의 영업양수를 통해 복합 유통사업을 수행 중이며 헬스/뷰티 상품을 판매하는 W-store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음.

728x90
반응형